종자를 둘러싸고 있는 과육은 빛깔이 탐스럽고 달콤한 맛이 있어 사람들이 이따금 먹는다. 그 자체로 큰 문제는 없지만 그 안에 들어있는 종자를 같이 먹을 경우 중독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주목은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늘푸른 키큰 나무로 다 자라면 높이 20m, 지름 2m에 달한다. 한국,·일본,·중국 동북부,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큰가지와 원줄기는 붉은갈색이며 껍질이 얕게 대팻밥 모양으로 벗겨진다. 침모양의 잎은 나선상 또는 깃처럼 2줄로 달린다. 길이 1.5~2.5cm, 너비는 2∼3mm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에 기공조선(氣孔條線:잎이 숨 쉬는 부분)인 황록색 줄이 있다.
꽃은 4월에 핀다. 잎겨드랑이에 암꽃 수꽃이 따로 달린다. 수꽃은 갈색으로 6개의 비늘조각으로 싸여 있고 8∼10개의 수술과 8개의 꽃밥이 있다. 암꽃은 녹색으로 달걀 모양이며 1∼2개씩 달리며 10개의 비늘조각으로 싸여 있다. 9∼10월이 되면 붉은 과육에 둘러싸인 종자가 달리는데, 종자의 일부분이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다. 잎이 주목에 비해 좀 더 넓고 회색이 도는 것은 회솔나무, 원줄기가 곧게 서지 않고 밑에서 여러 개로 갈라지는 것은 눈주목이라고 한다.
재배방법 주목은 ‘살아 천년, 죽어 천년’이라는 말이 있듯 아주 오래 사는 나무이다. 강원도 정선에 있는 ‘두위봉 주목’은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장수 나무로 알려져 있는데, 1400살이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소백산, 덕유산, 태백산 등 고산지대에 주로 서식하지만 관상용으로 개발되어 공원이나 아파트, 개인정원 등에 많이 심겨지고 있다. 성장이 느린데 비해 맹아력이 좋아 가지치기와 전정을 통해 울타리로 하거나 삼각형 또는 원뿔 등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 할 수 있다.
번식은 종자나 삽목으로 한다. 9∼10월경에 종자를 채집해 겉의 과육을 벗겨내고 바로 파종하거나, 모래처리를 하였다가 다음해 봄에 파종한다. 삽목은 4월 중순에서 5월 초순 사이에 2∼3년생 가지를 10∼15㎝ 길이로 잘라서 심는다.
약성과 활용 민간에서는 주목을 통경, 이뇨약, 당뇨병 등에 사용한다. 유럽에서는 종자를 설사 및 기침약으로 쓰고, 잎은 구충제로 사용했다고 한다. 1967년에 주목에서 추출한 택솔(taxol)이란 성분이 난소암과 각종 종양, 백혈병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항암제로 알려지고, 이를 대량으로 배양하여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우리나라에서 개발되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주목에는 알칼로이드계의 택신(taxine)이란 강한 독성분이 있다. 영어의 독소(toxin)도 taxine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주로 종자와 잎에 함유되어 있다. 치사량은 체중 50kg인 사람의 경우 약 0.25g이라고 알려져 있다. 섹스피어의 유명한 희곡 [햄릿]에 보면, 선잠이든 왕의 귀에 동생이 작은 병의 독약을 부어 넣어 죽이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때 사용된 독이 유럽 주목의 씨에서 얻은 것이라고 한다.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주목에 들어있는 택신(taxine) 성분이 혈압을 내리고 심장의 운동을 느리게 하며 많은 양에서 확장기 정지를 일으킨다. 숨쉬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심장기능이 약할 때에는 영향을 준다. 많은 양에서 택신에 의한 중독사의 원인은 심장정지이다. 그리고 위장염을 일으킨다. 그러나 적은 양에서 택신은 강심 작용이 있다. 응용은 나무 줄기 또는 껍질을 민간에서는 기침약, 신경통 치료약으로 쓴다.’고 적고 있다.
종자를 둘러싸고 있는 과육은 빛깔이 탐스럽고 달콤한 맛이 있어 사람들이 이따금 먹는다. 그 자체로 큰 문제는 없지만 그 안에 들어있는 종자를 같이 먹을 경우 중독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식물에 의한 중독사고 상위에 항상 주목이 들어 있다고 한다. 주목 잎을 알코올과 함께 약한 불에 오랫동안 달이면 유독 성분인 택신을 추출할 수 있다. 택신은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알코올을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