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차를 우려내는 찻 주전자, 다관은 손잡이의 위치에 따라 윗손잡이형, 뒷손잡이형,옆손잡이형으로 구분된다. |
|
차를 마시는 잔으로 잔,구,종, 완 등의 형태가 있다. 찻잔의 모양은 입구쪽이 바닥보다 약간 넓은 것이 마시기에 편하다. |
|
|
|
<다관> |
|
<찻잔> |
|
|
|
|
|
|
|
|
|
|
|
|
차잎을 곱게 갈아 가루로 만든 말차를 내는 그릇으로 다완, 찻사발이라고도 한다. |
|
차의 제맛을 내기 위해 사용하는 그릇으로 물식힘 사발이나 귓대사발이라 한다. 재탕이나 삼탕의 차를 낼 때나 손님이 많을 때 사용된다. |
|
|
|
<차완> |
|
<숙우> |
|
|
|
|
|
|
|
|
|
|
|
|
예열했던 물이나 남은 차를 버리는 그릇으로 물 버림사발이나 개수 그릇이라고도 불린다. |
|
차를 낼 때 찻통의 차를 우릴 만큼만 넣어 두는 작은 항아리로 뚜껑 모양에 따라 차호와 차합으로 구분된다. |
|
|
|
<퇴수기> |
|
<차호> |
|
|
|
|
|
|
|
|
|
|
|
|
다관 뚜겅이나 차호의 뚜껑을 받쳐놓는 다구이다. |
|
차를 다관에서 따를 때 작은 찻잎 찌꺼기를 걸러주는 다구로 표주박에 망을 씌워 체로 만든 것과 대나무, 플라스틱으로 만든 것이 있다. |
|
|
|
<뚜껑받침> |
|
<차 거름망> |
|
|
|
|
|
|
|
|
|
|
|
|
차를 넣을 떄 사용하는 찻 숟가락 용도의 다구로 대나무의 절반을 쪼개어 만들거나 대나무 뿌리로 만든다. |
|
찻잔 받침으로 도자기나 대나무등나무, 향나무 등으로 만든다. 나무로 만든 것이 찻잔과 부딪힐 때 충격과 소리를 방지하여 더 좋다. |
|
|
|
<차칙> |
|
<차탁> |
|
|
|
|
|
|
|
|
|
|
|
|
찻가루와 끓인 물을 저어서 거품을 내어 차와 물이 잘 섞이도록 사용하는 다구로 대나무의 쪼개짐에 따라80본, 100본, 120본이 있다. |
|
차선을 꽂아놓는 다구로 사용후 차선의 모양을 잡아주며, 곰팡이 발생을 방지하고 차선의 형태를 변함없이 잘 보관할 수 있다. |
|
|
|
<차선> |
|
<차선꽂이> |
|
|
|
|
|
|
|
|
|
|
|
|
찻통의 차를 떠서 다관에 옮기는 다구로 대나무와 일반 나무를 수저처럼 깎아서 사용하거나 주칠을 한 수저가 사용되기도 한다. |
|
찻잔을 담아 나르기 위한 반으로 굽이 없는 쟁반형이 있다. |
|
|
|
<차시> |
|
<차반> |
|
|
|
|
|
|
|
|
|
|
|
|
다관에 우려낸 차 찌꺼기를 꺼내기 편리하도록 만든 다구이다. |
|
찻상위에 까는 것으로 차를 낼 때 물이 흘러도 차포에 흡수되어 정갈해 보인다. 대나무나 등나무로 만든 것은 차석이라고 한다. |
|
|
|
<차긁개> |
|
<차포> |
|
|
|
|
|
|
|
|
|
|
|
|
|
다구들을 올려놓고 행다를 하는 굽이 있는 다기용 상으로 목재류가 많고 모양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팔각형 등이 있다.
|
|
|
|
|
|
<찻상> |
|
|
|
|
|
|
|
|
|
|
|
|
|
|
|
|
|
|
|
|
|
|
▒ 차 우리는 법 |
| |
▒ 차의 종류 |
| |
| 차는 국가와지역마다 지형적,기후적,문화적 차이에따라 만드는 방식이 다르므로 다양한 종류의 차가 만들어 집니다.
우리나라의 남부,중국의 중부, 일본등의 온대기후대에서는 불발효차인 녹차가 만들어지고, |
중국의남부와 대만등의 아열대기후에서는 각종의 부분 발효차가 생산됩니다. 인도,스리랑카,케냐등의 열대기 후대에서는 완전발효차인 홍차가 생산됩니다.
차는 만들어진 성상에 따라 잎차,덩이차,가루차,티백등으로 나누어집니다.
녹차,부분발효차등의 대부분의 차가 잎차로 만들어지고있으며, 티백은 홍차류가 주종을 이루고 있고,덩이차 는 보이차등의 흑차류이고 가루차는 주로 일본에서 만드는데 차광재배를해서 생산한 차잎으로 만듭니다.
차는 발효의 유무나 그 방식이나 정도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 종류와 각국의 대표적인 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불발효차
녹차
일본: 전차(煎茶),옥로(玉露),번차(番茶),말차(抹茶:가루차),등이 있으며, 증제차(蒸製茶:쪄서만든차)이다.
중국: 용정(龍井),벽라춘등이 있으며,부초차(釜炒茶:가마솥덖음차)이다.
우리나라: - 증제차 : 보성차,설록차 - 부초차 : 하동차(화개차) ,광양차,구례차,보성차일부
▒ 부분발효차
주로 중국의 남부지역이나 대만에서 생산된다.통칭해서 오룡차라 부르기도 한다.
부분발효차는 생산지역, 발효방법, 발효정도등에 따라 수 많은 종류로 나뉘어진다.
부분발효차는 청차, 백차, 흑차등의 세종류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청차는 일쇄(햇볕쬐기) 발효를 통하여 만든 차인데, 오룡차, 철관음차, 포종차, 병풍차등이 있다.
백차는 실내 발효를 하여 가볍게 비벼서 말린 차인데, 은침차, 백목단, 수미등이 있다.
흑차는 국균(곰팡이균) 발효를 한 차인데, 보이차, 기석차등이 있다.
▒ 완전발효차
60∼70% 이상 발효시킨 홍차이다. 인도, 스리랑카 등지에서 주로 생산된다. |
▒ 차의 품질 / 차잎의 채취시기와 계절에 따라 나눈다. |
| |
▒ 우전차(雨前茶) / 첫물차
곡우(4월 20일)전후에 딴 차잎으로 만든차입니다. 겨울울 지내고 처음 돋아난 새싹과새잎으로 만들었으므로, 색,향,미가 부드럽고, 독특한 향취가 있습니다. 최고급차입니다
▒ 세작(細雀) / 두물차
곡우에서 입하 사이에 채취한 것으로 최상품이다. 세작 중에도 아침 이슬 맺힐 때 채취한 잎과 오후에 채취 한 잎의 무게가 다르다. 오후에 채취한 잎은 새벽에 채취한 잎보다 무겁고 맛도 덜하다. 세작 중에서도 1,2 등급으로 나누어진다.
▒ 중작(中雀) / 세물차 : 입하 이후에 채취한 것. 5월 중순에 생산된 차이며 향미가 강한것이 특징.
▒ 대작(大雀) / 끝물차
5월하순에 나는 차로써 춘차(春茶)의 끝무렵에 나는 차입니다. 가격이 저 하고 쉽게 마실수 있는 차입니다.
▒ 명전차(明前茶) : 청명(淸明) 전에 따는 차
▒ 춘차(春茶) : 4∼5월에 따는 차
▒ 초청차(炒靑茶) : 하얀 솜털이 나타나 있다.
▒ 화차(花茶) : 꽃일 속에 차를 넣어 차잎에 꽃향이 스며들게 만든 차
▒ 하차(夏茶) : 6∼7월에 따는 차
▒ 추차(秋茶) : 8∼10월에 따는 차
▒ 햇차(新茶) : 그 해에 따서 만든 차
|
▒ 차의 이름 |
| |
▒ 작설차(雀舌茶) : 차잎의 모양이 참새혀와 같다고 하여 작설차라 부른다.
▒ 죽로차(竹露茶) : 대나무 숲에서 이슬을 먹고 자라난 차잎으로 만든 차
▒ 춘설차(春雪茶) : 봄눈이 채 녹기 전에 돋아난 차나무 움과 같은 여린 잎으로 만든 차
▒ 감로차(甘露茶) : 아침 이슬이 가시기 전에 차잎을 채취하여 만든 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