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scTitle/이런 저런 이야기

추석 연휴 건강3일… 식탐 버리고, 조심조심, 평소처럼

아기 달맞이 2009. 9. 30. 00:41

올해 추석 연휴는 주말을 끼고 3일뿐. 귀성, 성묘 등의 일정을 소화하기에는 너무 짧아 아무래도 무리를 하기 쉽다. 또한 예년에 비해 보름 이상 일찍 찾아와 고온다습한 날씨로 인해 귀성길 고생이 심해지고 명절음식이 상할까봐 걱정된다. 너무 짧고, 너무 빨리 찾아온 추석의 건강관리법에 대해 알아보자.

기름이 눈에 튀었을 때 문지르면 안돼
전 부치다 “눈에 기름이…”… 비비지 말고 물 세척 후 안과 찾으세요

추석과 같은 명절에는 차례음식 마련 중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마련이다. 특히 튀김이나 부침과 같은 요리를 하는 중 뜨겁게 달궈진 기름에 물기가 많은 음식을 넣으면 갑자기 기름이 튀면서 얼굴 부위, 특히 눈에도 기름이 튈 수 있다. 뜨거운 기름이 눈에 들어가면 각막에 화상을 입고 심하면 눈앞이 뿌옇게 흐려지는 등 시력이 저하되기도 한다.

보통 눈에 기름이 들어가면 반사적으로 눈을 세게 누르거나 문지르게 되는데, 이때 오히려 각막 손상이 더 심해져 찰과상을 입을 수도 있다. 눈에 뜨거운 기름이 튀면, 인공 눈물이나 식염수로 씻어내고, 이것이 없을 경우 흐르는 물에 충분히 세척하고 빨리 안과를 찾는 것이 좋다.

명절 때는 그동안 없던 변비가 생기는 사람들도 많다. 장거리 운전과 수면부족 등으로 인한 명절 피로로 생활리듬이 깨지고 화장실을 제때 못 가 배변 욕구는 있지만 변이 나오지 않아 통증이 심한 경련성 변비가 유발되기도 한다. 배에서 소리가 나고 배가 차가우며, 만지면 아픈 것이 주된 증상이다. 변비 예방에는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고, 양상추·당근·오이 등 물에 잘 녹는 부드러운 섬유질을 물과 함께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다.

특히 연휴기간에 과음해 지병이 악화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술을 마시면 항문혈관이 팽창돼 항문의 피부, 점막이 부풀어 오르면서 치질이 더 심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알코올 성분이 항문 주위의 출혈을 일으킨다.

고열량·고콜레스테롤 음식 주의를
고기·떡…참을 수 없는 명절음식… 고혈압·동맥경화증 환자 평소습관 잃지 마세요 

지병이 있는 환자와 귀향길에 동행할 때에는 응급상황에 대처할 만반의 준비를 해야 한다. 의료보험증과 상비약을 지참하는 것은 기본이다.

당뇨환자의 경우 과식으로 인한 고혈당도 문제이지만 배탈이나 설사로 인해 저혈당이 유발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또 고혈압이나 심장병 환자가 소금기를 많이 섭취하면 체내 수분이 고이는 울혈성 심부전이 올 수 있다. 신장질환이 있는 환자는 어디서나 응급상황에 먹을 수 있는 약을 준비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식혜, 떡, 각종 부침과 고기 등 대체로 기름지고 단 명절음식은 대부분 고열량·고콜레스테롤이기 때문에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농도를 증가시켜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증 환자들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식이요법으로 건강관리를 하고 있다면 명절 분위기에 휩쓸려 평소 생활습관을 잃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지나친 음주로 인한 급성위염이나 숙취, 간 기능 장애 등도 주의를 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