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의방

우리밀 바르게 알기

아기 달맞이 2011. 5. 13. 14:13

자기 고장에서 생산된 음식물을 신선한 상태로 먹는 것이 건강에 가장 좋은 것은 자명한 사실. 우리가 밥처럼 자주 먹는 밀가루 역시 우리 것이 좋은 것이다!

 

 

한국인의 체질에 잘 맞는 우리밀
현재 우리나라에서 밀은 쌀과 함께 제 2의 주식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데, 빵, 케이크, 국수, 피자 등 밀가루를 원료로 한 각종 음식들이 인기를 얻으면서, 밀가루 음식의 주 재료인 밀의 생산량과 수입량 또한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86년 이후 200만 톤 이상의 수입 밀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국내 식품 원료 중에서도 어마어마한 비중을 차지한다.
이러한 수입밀의 홍수 속에서 웰빙, 로컬 푸드를 선호하는 사람들 중심으로 우리밀로 만든 제품을 찾는 소비자
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 수입밀에 비해 가격이 높고, 맛에서도 특별한 차이를 느끼기 힘든데, 이들은 왜 이렇게 우리밀에 열광하는 것일까?
우선, 우리밀이 조상대대로 내려온 곡물로서 우리나라 사람에게 가장 잘 맞는 웰빙음식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를 입증하는 연구 결과로, 1997년 최면 한국영양과학연구소 교수팀은 <우리밀의 면역 및 산화억제 기능>이라는 논문에서 '우리밀에는 면역력 강화, 노화억제에 효과적인 복합다당류 단백질이 들어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우리밀은 겨울을 나는 동안 낮은 온도, 적은 일조량 등의 국내 생태계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물질을 생산할 가능성이 높은데, 바로 이 물질들이 우리 몸의 면역기능을 증강시켜준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백제, 신라시대 유적에서부터 밀이 발견될 만큼 우리 조상들이 오랫동안 이용해온 곡물이라는 점
에서 우리밀 속 여러 가지 성분이 한국인의 소화, 흡수에 잘 적응되어왔다는 사실도 우리밀이 한국인의 체질에 잘맞는다는 주장을 뒷받침해준다.

 

우리밀이 지닌 대기정화 효과
두 번째 우리밀이 지닌 장점은 해충이나 잡초의 피해가 덜해 농약을 거의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다. 한국 식품위생연구소에서 시행한 잔류농약 검사에 따르면, 우리밀을 대상으로 66종의 농약검사를 한 결과, 어느 한가지 농약 성분도 검출되지 않았다고 한다. 토양을 안전하게 하는 청정 작물로 우리밀이 공식 인증을 받은 것이다.
우리밀을 심었을 때 발생하는 대기정화 효과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우리밀을 100만ha 재배했을 때, 생성되는
산소는 300만 톤으로, 그 파급 효과는 연간 2조1천7백99억 원에 달한다고 한다.

 

우리밀 재배 확대는 식량 주권을 확보하는 길

쌀 못지않게 우리 식생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밀. 하지만 우리밀 자급량은 2% 안팎으로 미미한 형편
이다. 우리밀 재배 확대는 장기적으로 식량 안보 및 식량주권을 확보하는 길이다. 소비자로서는 우리 땅에서 생산돼 이동거리가 적은 안전한 먹을거리를 먹을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으로는 먹을거리의 이동(푸드 마일리지)에 소요되는 탄소 배출량을 줄인다는 점에서, 우리밀은 더욱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초록마을에서는 유기농, 무농약 우리밀과 국내산 우리밀을 연간 600톤 이상 계약재배하고 있다. 이렇게 계약
재배된 원료로 초록마을의 밀가루, 부침가루, 라면, 과자, 오맘스 빵 등이 만들어진다. 우리밀 제품을 찾는 소비자가 많아져야 우리밀 제품을 더욱 많이 생산할 수 있고, 우리밀을 재배하는 농가도 더욱 늘어날 수 있다. 우리밀 재배 농가가 늘어나면 지력증진, 유휴전답 활용, 농가소득 증대, 밀을 수입하는데 쓰는 외화 절약이라는 다양한 부가적인 이익도 창출할 수 있다. 소비자들의 우리밀 제품 사랑이 더욱 필요한 이유다.

 

 

출처 초록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