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넨이란
마에서 추출한 천연섬유이다.
마에는 아마, 황마, 저마등이 있다.
그중에서 린넨은 아마줄기에서 얻은 인피섬유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섬세하고 가늘게 직조한것이 모시,
올이 굵고 성글게 직조한것을 삼베라고 부른다
린넨의특성
땀 흡수와 건조가 빨라 습도가 높아도 피부에 달라붙지 않는 소재로 일교차가 커지고 한낮
기온이 올라가면서 땀이 많은 무더운 여름철, 습한 장마철에 인기가 높은 소재로 자켓, 팬
츠 등 매년 여름철 최고의 인기를 얻는다.
통기성이나 흡수성이 좋고 열전도성이 크기 때문에 착용했을 때 시원한 느낌을 주어 긴팔이
라 하더라도 쾌적하게 입을 수 있다.
심플한 라인과 루즈하게 떨어지는 실루엣을 제대로 살려주는 소재가 바로 마, 린넨이다.
입었을 때 편안한 것은 물론 부드럽게 흐르는 듯한 라인이 보기에도 멋스러움을 보여준다.
잘 구겨지는 단점을 보완하여, 요즘은 면이나 텐셀 등을 혼용한 소재의 자켓이나 팬츠등이
선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소재는 마 특유의 성질인 구김을 방지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보
고있다.
린넨은 면보다 2배 이상이나 내구성이 강한 섬유로 물에 젖으면 한층 강도가 강해진다.
10년 이상 장기간 사용해도 좋을 만큼 튼튼하고 자연을 느낄 수 있는 우아하고 은은한 광
택이 있으며 사용할수록 부드러워져 차분한 린넨만의 매력을 더욱 느낄 수 있다.
린넨의생산지
린넨의생산지
양질의 린넨 재배를 위해서는 기온이 낮은 곳이 적합하다.
북아일랜드, 북쪽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러시아나 동구제국, 북유럽등이 주 생산지이다.
그중 최고는 프랑스라고 할 수 있으며 리투아니에서도 많은 린넨이 생산되고 있다.
요즘 중국의 린넨도 저가로 많이 사용되나 최상급 린넨은 아무래도 유럽쪽이라고 할 수있다.
린넨의섹탁및관리
짙은색 마섬유는 부분적으로 비비면 한부분만 하얗게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세탁 후 색상이 다소 연해질 수 있다. 이런 천연섬유는 드라이 크리닝에 의해 오히려 얼룩이
생겨 지워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손으로 살살 비벼 세탁해야 한다.
변한 색상의 경우 부분 탈색을 방지하기 위해 세제를 완전히 물에 푼후 세탁해야 하고 충분
히 행궈야 부분 탈색이나 변색을 막을 수 있다.
헹군 후에는 힘주어 짜지 말고 그대로 탁탁 털어서 그늘에 널어 물기를 뺀다.
그리고 완전히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다리미로 마섬유 온도에서 다린다. 천연섬유는 세탁에
의해 수축하는 단점이 있다.
린넨같은 천연 섬유는 좀, 곰팡이의 피해를 받기 쉽다. 이들은 습기가 많고 어두운곳 오염부
분과 접한 곳에 쉽게 번식하고 갉아먹기 때문에 깨끗하게 세탁해 보관해야 한다. 보관시 방
충제 및 방습제를 사용하지 말고 통풍이 잘되고 습기가 없는 곳에 보관해야 하며 방충제와
방습제를 사용할 경우 신문지나 천에 싸서 린넨에 닿지 않도록 해야한다.
린넨의활용법
색상은 흰색, 라이트 그레이, 스카이 블루 계열이 적당하며, 재킷은 셔츠보다 밝게 입는게
시원해 보이며 여름 아이템들과 코디하기 편하다.
팬츠를 선택할 경우 구김을 방지하는 가공을 했거나 구김을 덜 해주는 혼방 소재인지를 확
인하는 것이 좋다. 장시간 앉아있어야 하는 자리에는 되도록 착용을 피하도록 한다.
'규방공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숙화 전통 자수전 (0) | 2013.05.21 |
---|---|
"청정한 왼손으로 수놓았지, 오른손은 뒷간서도 쓰니까" (0) | 2013.05.20 |
도래매듭 만들어 보려고 한참을 .... (0) | 2013.04.17 |
흉내라도 내려고 합니다 (0) | 2013.03.22 |
봄을 알리는 패브릭 인테리어 (0) | 2013.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