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자리공은 1950년경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는 귀화식물로 지금은 우리나라 도처에서 자라고 있다. 자연농업에서는 가을에 자리공 뿌리를 채취해 충방제 또는 충기피제로 활용한다 | ||||||||||||||||||||||||||||||||||||
선홍빛 줄기며 검붉은 열매색깔이 맨드라미만큼이나 이국적인 미국자리공, 포도송이마냥 주절이주절이 매달은 열매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고 축 휘어져 담장 곁에서 시들어가고 있다. 미국 자리공은 1950년경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는 귀화식물로 지금은 우리나라 도처에서 자라고 있다. 이젠 자리공하면 미국자리공을 떠올릴 정도로 한적한 시골로 밀려나 구경조차 어려운 토종 자리공의 위치를 위협하고 있다. 악양에 내려온 지난 1년 여간 악양 곳곳을 두루 돌아보았지만 토종 자리공을 발견하지 못했다.
미국자리공은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자리공과의 다년생 식물이다. 키가 1∼1.5m에 이르는 비교적 큰 키로 잎이 넓으며 뿌리가 비대해 번식력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산성 토양에서 잘 자라는 미국자리공은 열매와 뿌리 또한 산성을 띠고 있어 토양을 더 산성화시키고 우리생태계를 심각하게 위협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한때 사회적 파문이 일기도 했다. 그것이 비록 지나친 기우였다고는 하나 미국자리공이 무리지어 자라는 것을 보면 섬뜩한 기분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올 한해 악양 이곳저곳을 돌며 지켜본 바에 의하면 외래종으로 정말 섬뜩할 정도의 번식력을 자랑하는 식물이 또 하나 있다. 바로 주홍서나물이다. 과히 폭발적이라고 할 만큼 악양 곳곳, 논둑, 밭둑, 야산을 가리지 않고 어딜 가나 발견된다. 늦여름부터 미사일탄두대처럼 생긴 꽃대에서 뿜어내는 솜털감은 씨앗뭉치는 민들레보다 더 폭발적이다. 여름철 집 앞 고사리밭에 이놈들이 하나 둘 모습을 드러내기에 그냥 그러려니 싶었는데 여름이 지나면서 이곳저곳에서 하얀 씨앗을 뿜어대는 것이 아닌가. 이러다 내년 고사리농사 망치겠다 싶어 멧돼지가 휘저은 모양으로 무성한 고사리를 밟아가며 기껏 다 뽑아내었다고 안심했더니 얼마 지나지 않아 새로운 싹이 돋아나 금새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매다는 것이다.
이야기가 옆길로 흘렀지만 외래종이 급속도로 확산되는 데는 상당부분 사람들에게 책임이 있다. 시골 농가 혹은 도심 주택가를 지나치다 보면 이름모를 외래꽃들이 마당 한편이나 담장 곁에 심겨져 있는 것을 자주 보게 된다. 들이나 밭, 숲 가장자리에 사철 피고지는 아름다운 우리 자생꽃도 무수히 많건만 그런 것은 무슨 이유에서인지 잡초라는 이유로 무시해버리고 이름도 국적도 모르는 외래꽃을 자랑하듯 키우고 있으니 정말 우습지 않은가. 필시 미국자?便?귀한 것이려니 하여 집안에 심겨두곤 하던 것들이 그리 퍼져나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자리공이라는 이름은, 고려시대에 저술된 '향약구급방'에 자리공의 한자어 '商陸'을 "者里宮根"이라고 표기하고, 그후 기록에서도 한글로 "쟈리공불휘"라고 표현한 것을 보면 오래전부터 사용된 용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토종 자리공과 미국자리공을 구분하자면, 1. 줄기 색깔이 자리공은 녹색이고 미국자리공은 적색이다. 2. 자리공은 5-6월에 꽃이 피고 미국자리공은 6-9월에 핀다. 3. 자리공은 꽃 색깔이 희고 미국자리공은 붉은 색이 도는 흰색이다. 4. 한 개의 꽃과 열매에 자리공은 씨방 수와 수술 수, 씨앗이 8개인 반면, 미국자리공은 10개씩이다. 「동의보감」에는 자리공을 상륙(商陸)이라 하여, ‘성질은 평(平)하고(서늘하다[冷]고도 한다) 맛은 맵고 시며[辛酸] 독이 많다. 10가지 수종과 후비로 목이 막힌 것을 낫게 하고 고독을 없애며 유산되게 하고 옹종을 낫게 한다. 헛것에 들린 것을 없애고 악창에 붙이며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한다.’고 적고 있다.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는, ‘뿌리를 으깨면 나오는 즙액의 독성을 활용해 물고기를 잡는 데 쓰기도 하였으며 열매를 입으로 씹으면 수 시간 이상 혀 마비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오줌내기약으로 콩팥염, 문정맥성 간경변으로 인한 부기, 물고임에 쓴다. 민간에서는 뿌리를 물에 달인 것을 구토약, 살충제, 설사약으로 쓴다. 유독성 식물로 과다 복용시 구토, 복통, 어지럼증, 두통, 흥분 등의 중독증상을 일으킨다. 임신부, 허약자에게는 쓰지 않는다.’고 한다.
자연농업에서는 가을에 자리공 뿌리를 채취해 충방제 또는 충기피제로 활용한다. 뿌리를 잘게 썰거나 으깨어 현미식초나 목초액, 주정 등에 무게대비 1/10정도 분량을 넣고 3개월 정도 숙성을 시켜 100~500배로 희석해 활용한다. 즉각적인 효과는 없으나 3~5일 정도 지나면 대부분의 충에서 효과가 나타난다고 한다. 경남 고성의 참다래농원에 의하면 주정에 1~2년 정도 오래 숙성해 사용하면 충방제 효과가 바로 나타날 뿐만 아니라 희석배율을 높여 사용해도 되기 때문에 약해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한다. |
'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강의 효능 및 건강 방법 (0) | 2010.09.27 |
---|---|
천식에 으뜸 '산초나무' (0) | 2010.09.17 |
항암효과 탁월한 짚신나물 (0) | 2010.09.04 |
천마 (0) | 2010.09.01 |
쑥부쟁이의 전설과 효능 (0) | 2010.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