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스터 관련 설화 75. 약명(藥名)에 창출과 백출이라는 것이 있다. 이 두 가지 다 삽주라고 한다. 이런 약명이 붙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옛말에 약이 많이 나는 산에 심마니가 약을 캐러갔다가 깊은 산골까지 들어가게 되었다. 그런데 거기서 토인(土人)을 만났다. 그 토인은 털은 많은데 살결이 아주 희었다. 그래서 그가 여기서 뭘 먹고살았냐고 물었다. 그러자 토인이 “여기 산중에 곡식도 없고 아무것도 없어서, 이 풀 저 풀 먹다가 삽주 뿌리를 먹으니까 연명이 되더라.”고 대답했다. 다시 그가 그럼 이런 산주에 어떻게 들어오게 되었냐고 물으니 “전에는 내가 군인이었는데, 전쟁에서 져서 모두 죽고 자신만 살아남아 도망치다 보니 들어오게 되었다.”라고 말했다. 그런데 그가 가만히 들어보니 그 전쟁은 벌써 삼백 오십년 전에 있었던 것이었다. 이런 이유로 옛날에는 삽주라고 했던 것을 토인의 살갗이 희다고해서 흰 백(白)짜에 삽주 출(朮)짜를 써서 백출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창출이라는 말은 삽주 중에서도 구근(球根)이 안돼서 조금 푸른 것을 토인이 삼백 오십년까지 청춘을 살았다고 해서 푸를 창(蒼)자에 삽주 출(朮)자를 쓰게 되었다.
삽주 - 우리 산야초 배우기 | ||||||||||||||||||||||||
봄철 어린잎은 산나물로 먹고, 뿌리줄기는 창출(蒼出) 또는 백출(白朮)이라 하여 한약재로 이용한다. 뿌리를 태워 옷장이나 쌀저장고 안에 연기를 쏘이면 장마철에도 곰팡이가 끼지 않는다고 한다 | ||||||||||||||||||||||||
| ||||||||||||||||||||||||
오랜만에 뒷산에 올랐다. 임도를 따라 능선까지 오른 다음, 오른편 마루금을 따라 구제봉 방향으로 1km 정도 진행했다. 한 여름의 무성한 잡목의 기세는 조금 누그러졌지만 여전히 인적인 없는 원시의 침묵이 나를 사로잡는다. 이따금 얼굴에 감겨드는 성가신 거미줄도 나로 하여금 이곳에 들어선 이방인이란 걸 일깨워주곤 한다. 좌우 양편으로 무릎높이에서부터 사람 키의 서너 배는 족히 됨 직하게 자란 비목나무들이 빼곡하게 자라고 있다. 여름이 되기 전, 이 길을 지나며 비목나무 잎을 비며 특이한 향을 맡곤 하던 기억이 고스란히 떠오른다. 생강나무속에 속하는 비목나무는 생강나무처럼 특이한 정유향이 날뿐 아니라 암수딴그루로 이즈음 암나무에는 빨간 열매가 잎겨드랑이마다 다닥다닥 매달려 아름다움을 뽐낸다.
작은 봉우리를 지나 소나무가 어우러진 내리막길에서 두 그루의 삽주를 만났다. 이제 절정의 우윳빛 꽃을 가지 끝마다 매달고서 그 무게가 버거운 듯 나에게 안겨온다. 수세미처럼 투박한 질감의 꽃받침에 역시 굵은 솔의 꽃과 날카로운 가시모양의 톱날을 가진 털투성이 잎은 어딘지 다정하게 안아주기에는 너무 거칠어 보인다. 삽주(학명 : Atractylodes japonica Koid.)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전국 산지의 다소 건조한 곳에서 높이 30∼100cm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몇 개 갈라지며 뿌리에서 나온 잎은 꽃이 필 때 말라 없어진다. 달걀을 거꾸로 세운 긴 타원형의 잎은 표면에 윤채가 있고 뒷면에 흰빛이 돌며 가장자리에 짧은 바늘 같은 가시가 있다. 줄기 아래쪽 잎은 3-5개로 갈라지며 잎자루가 있는 반면 윗부분의 잎은 갈라지지 않고 잎자루가 거의 없다.
허준의 「동의보감」에는, ‘백출(白朮)은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쓰며[苦] 달고[甘] 독이 없다. 비위를 든든하게 하고 설사를 멎게 하고 습을 없앤다. 또한 소화를 시키고 땀을 말리며 명치 밑이 몹시 그득한 것과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허리와 배꼽 사이의 혈을 잘 돌게 하며 위(胃)가 허랭(虛冷)하여 생긴 이질을 낫게 한다. 창출(蒼朮)은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이 쓰고[苦] 매우며[辛] 독이 없다. 윗도리, 중간, 아랫도리의 습을 치료하며 속을 시원하게 하고 땀이 나게 하며 고여 있는 담음(痰飮), 현벽(痃癖), 기괴(氣塊), 산람장기(山嵐瘴気) 등을 헤치며 풍, 한, 습으로 생긴 비증(痺證)과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을 낫게 하며 수종과 창만(脹滿)을 없앤다. 삽주의 길이는 엄지손가락이나 새끼손가락만하며 살찌고 실한 것은 구슬을 꿴 것 같으며 껍질의 빛은 갈색이고 냄새와 맛이 몹시 맵다. 반드시 쌀 씻은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다시 그 물을 갈아붙여 하루 동안 담가 두었다가 겉껍질을 벗기고 노랗게 볶아 써야 한다.‘고 적고 있다. | ||||||||||||||||||||||||
|
'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개복숭아 효소 담그는법 > (0) | 2009.06.09 |
---|---|
솔순 채취요령 (0) | 2009.06.05 |
불꽃은 이렇게 산야초 채취해요 (0) | 2009.05.29 |
묵나물은 여러가지 섞어야 제 맛이죠/참나물·곤드레 등 소개 (0) | 2009.05.29 |
솔순 채취요령 (0) | 2009.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