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1) 실 끝부분에 바늘을 십자로 올려놓는다. 2) 실을 바늘에 두 번 감는다. 3) 실감은 부분을 엄지손가락으로 누르고 바늘을 위로 뺀다. 이때 실 을 감은 부분을 누른 손가락을 놓치지 않고 바늘이 다 빠질 때까지 끝까지 눌러서 매듭이 풀리지 않게 한다. 여러번 감으면 매듭 부분이 더 커지므로 천의 두께에 맞추어 조절한다. |
| |
|
|
|
|
매듭을 짓지 않고 시작할 때와 마칠 때 되돌아 홈질로 마무리하는 방법과 매듭을 짓는 방법이 있다. 매듭을 짓지 않으면 아무래도 불안하다고 생각된다면 매듭을 짓도록 한다. 단 매듭이 조각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모이지 않도록 주의하고 매듭을 지을 때에도 시작할 때와 마칠 때 되돌아 홈질해 주는 것이 좋다. 매듭짓는 법은 프랜치넛트스티치랑 동일하다. |
| |
|
|
|
|
|
|
|
|
1) 마지막 박음질한 땀 밑으로 바늘을 끼운다. 2) 1)의 실을 당기다가 끝부분을 조금 남겨 동그랗게 만든 다음 그 부 분에 다시 바늘을 끼우고 실을 당겨준다. 3) 시접 쪽에서 한 땀 떠서 실을 조금 남긴 후 끊어준다. |
| |
|
|
|
|
두 겹 이상의 옷감을 겹쳤을 때 밀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그림(1)은 보통 시침하는 방법이고 (2)는 두꺼운 옷감일 때 하는 어슷시침이다. 그림 (3), (4)은 핀으로 징그는 방법으로 특수한 옷감 외에는 이 방법으로 하는 것이 빠르고 실도 절약되어 편리하다. 보자기 등을 만들 때는 반드시 시침질을 해야한다. 먼저 잘 다린 뒷감을 테이프 등을 이용해 바닥에 잘 펴서 고정시킨 후 그 위에 겉감을 올려서 핀 등으로 일단 고정시킨 후 시침해야 한다. 시침할 때는 반드시 가운데에서 시작하여 가장자리 쪽으로 하도록 하고 손으로 들어올리지 말고 왼손으로 천을 누르고 오른손으로 바늘땀을 밀리거나 어긋나지 않는다. 3~4센티 간격으로 바늘땀을 뜨며 간격이 5센티가 넘지 않도록 주의한다. 천 끝에서 0.5cm 쯤 안쪽을 약 3cm 길이로 0.5cm씩 떠서 시친다. 따라서 겉에는 0.5cm 간격으로 3cm씩, 안에는 3cm 간격으로 0.5cm씩의 실땀이 나오게 된다.
|
| |
|
|
|
|
|
|
가장 기본적인 바느질로서 널리 쓰인다. 홈질은 바늘땀이 촘촘하고 직선이 울지 않도록 하며 곡선은 늘어나지 않아야 한다. 큰 감을 홈질 할 경우에는 균일하게 바느질하기위해 군데군데 시침핀으로 징근 후 바느질한다. 앞면과 뒷면의 바늘땀의 크기가 같고 1센티에 3개의 바늘땀이 나타나도록 노력한다.
|
| |
|
|
|
|
|
|
반박음질은 겉에서 보기에는 홈질을 한 것같이 보이나, 홈질보다는 튼튼하고 온 박음질보다는 약하다. 한 땀을 뜨고 난 다음 그 바늘땀의 반을 되돌아가서 다시 뜬다. |
| |
|
|
|
|
|
|
바느질 중에 가장 튼튼한 바느질로 홈질을 조각을 이을 때 처음 시작할 때와 마무리 부분에서 해 준다. 한 땀씩 반복하면서 바늘땀을 고르고 촘촘하게 한다. 소품을 만들 때에는 쟈크를 달 때, 가방의 옆선을 이을 때 등 튼튼하게 해야할 때 이 바느질법을 사용한다.
|
| |
|
|
|
|
|
|
감침질에는 2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안쪽에서 감칠 때 바늘을 곧게 세워 뜨고 대신 실밥이 어슷하게 나타 나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겉에서 감칠 때 실밥이 작게 나오게 하기 위해 바늘을 어슷하게 꽂아 뜬다. 버선 감칠 때 이 방법으로 한다.
|
| |
|
|
|
|
규방공예에서 조각보를 만들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땀의 간격은 바늘땀의 길이와 같은 비율로 하면 보기에 좋다. 처음부터 세밀하게 하기는 힘들므로 일정한 모양이 되도록 연습한 후 간격을 1mm로 되도록 하면 예쁜 바느질이 된다. |
| |
|
|
|
|
공그르기에는 2가지 방법이 있는데, 창구멍 등을 마무리할 때 쓰는 방법으로, 표리에 모두 바느질 땀이 작게 보이도록 뜬다. 두 번째 방법은 단을 접고 단 안쪽으로 스며 뜨고 겉은 한 올씩 뜬다. 바이어스처리나 창구멍을 막을 때, 아플리케를 할 때 많이 사용한다. 바늘땀이 보이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 하고 너무 간격을 벌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그림 19는 겉을 뒤쪽으로 꺾어서 공그르는 방법이다. 시접 속으로 들어간 바늘을 뺄 때 안쪽의 꺾어진 선을 2-3올씩 떠가면서 꿰맨다. 전복, 복건, 치마 등의 단을 공그를 때 이용하면 빠르고 바늘땀이 있는 곳에 선이 생겨 한층 맵시가 난다.
|
| |
|
|
|
|
|
|
두꺼운 감의 단을 탄탄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또는 장식으로서 사용되며, 왼쪽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으로 바느질 해 간다. 일정한 간격으로 하는 것이 요령이다. 두꺼운 감일 때는 단의 끝을 오버로크로 처리하거나 바이어스로 싸서 새발뜨기한다. 꺾은 단의 꼭대기에서 0.5cm쯤 떨어진 곳에서 바늘을 빼내어 밑의 천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0.1cm 정도 뜬 다음 다시 꺾은 단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0.1cm 정도 떠서 실이 위아래에서 교차되게 하여 되풀이 한다. |
| |
|
|
|
|
|
|
방석이나 보료, 보자기의 장식용으로 바늘땀의 횟수와 간격을 맞춰 겉에서 바느질하는 것으로 박음질과 같으나 겉모양이 다르며, 바늘땀 수에 따라 한땀 상침, 두땀 상침, 세땀 상침이라 한다. |
| |
|
|
|
|
한땀 상침은 반박음질과 같은 방법으로 간격을 넓게 띈 것이고, 두땀 상침 및 세땀 상침은 박음질을 두 땀 또는 세 땀씩하고 간격을 띄어 놓은 것이다. |
| |
|
|
|
|
|
|
푸서의 올이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옷감 끝을 성글게 감치는 방법이다. 대개 1-1.5cm 정도의 간격으로 휘감치며 한번에 바늘을 빼지 않고 여러 번 휘감치면 빠르나 시접 끝이 오그라들 염려가 있으므로 실을 너무 잡아당기지 말아야 한다. 또 시접 끝에서 안쪽으로 들어온 나비가 같으면 올이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 |
|
|
|
|
|
|
골무, 가윗집, 수저집 등 빳빳한 두 면을 연결하는데 쓰인다. 튼튼하면서 장식미를 겸한 바느질법이다. 땀의 간격이 일정해야 고르게 머리딴 것 같은 모양이 나온다. 여러 번 연습하여 익숙해지도록 한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