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곳에 가면

초록빛 차밭 고랑마다 스민 白매화… 봄향기 ‘사뿐사뿐’

아기 달맞이 2013. 3. 22. 07:05

섬진강변 ‘봄꽃 경보’

 

↑ 경남 하동의 섬진강변에서 만난 차밭. 하루하루 초록의 기운이 더해가는 차밭 이랑 사이로 매화가 환하게 꽃을 틔웠다. 이른 봄, 차밭의 초록빛 색감이 주는 감동은 봄꽃 못지않다.

↑ 전남 구례군 오산의 눈썹자리쯤에 매달린 사성암.

↑ 전남 구례군 산동면 상위마을에 지금 노란 산수유가 활짝 피어났다. 산수유축제는 열흘 뒤에나 시작되는데 올해는 꽃이 일러 벌써 다 피어버렸다.

# 오전 7시:전남 구례 사성암

섬진강 부근으로 봄꽃을 보러갔다면 되도록 이른 아침에 자그마한 암자 사성암에 들르는 게 순서다. 사성암은 구례읍에서 섬진강 건너편 문척면 죽마리의 해발 531m 오산의 눈썹자리쯤의 암봉에 매달려 있는 암자. 자라모양을 하고 있다고 해서 '자라 오(鰲)'자를 쓰는 오산은 해발 500m가 넘으니 다른 지역이라면 제대로 된 산 대접을 받겠지만, 정면으로 거대한 지리산의 능선을 바라보고 있는 바람에 여기서는 숫제 야산 취급을 받는다. 그래도 정상 부근의 암봉은 제법 힘차다. 사성암은 그 암봉에 자리잡고 있는데, 백제 때인 1500여 년 전 연기조사가 창건한 이래 원효, 도선, 진각, 의상 등 4명의 고승이 머물며 수도하던 곳이라 전해진다. 4명의 성인이 거처하던 곳이라 해서 암자에 '사성(四聖)'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사성암은 바위 벼랑의 허공에 기둥을 올려 매달듯 지어놓은 암자의 풍모도 나무랄 데 없지만, 그보다 몇 갑절 더 빼어난 것이 암봉을 등에 두고 발 아래로 내려다보는 경치다. 암자 뒤편으로 난 돌계단 길을 잠깐만 올라서면 지리산의 연봉들이 한눈에 들어오는 명당자리가 있다. 왼쪽부터 지리산의 만복대와 성삼재, 차일봉, 노고단, 반야봉, 왕시루봉이 병풍처럼 펼쳐지는 압도적인 풍광이다. 왕시루봉의 어깨너머로 보일 듯 말 듯 천왕봉도 뾰족하게 얼굴을 내밀고 있다. 장중한 지리능선의 발치에는 구례읍과 너른 들판이 펼쳐지고, 그 들판 한가운데로는 섬진강 물길이 굽이쳐 흘러가는 모습이 가히 장관이다.

이런 풍경은 낮에도 볼 수 있지만, 굳이 이른 아침에 사성암을 찾아가라 권하는 이유는 봄날 아침이면 지리산의 허리 아래쯤에 가득 차는 운무 때문이다. 습도가 높고 일교차가 큰 봄날이면 지리산 아래 구례 일대는 온통 안개로 휩싸인다. 이런 날에 사성암에 올라서면 지리산이 마치 안개의 바다 위에 떠 있는 섬처럼 보인다. 이리저리 몰려가는 운무의 바다 사이로 언듯언듯 섬진강의 물굽이가 내려다보이는 풍경은 더없이 몽환적이다. 기대처럼 운무가 흘러다니지 않는다 해도 한낮보다는 오전 나절의 시야가 훨씬 더 깨끗하니 되도록 이른 시간에 사성암에 오르는 것이 더 낫겠다.

# 오전 10시:구례에서 광양으로

이즈음 섬진강에서 볼 수 있는 봄꽃은 매화와 산수유다. 사성암에서 거리로 보자면 구례의 산수유가 더 가깝지만, 광양의 매화부터 찾아가는 것이 좋겠다. 광양의 매화는 대부분이 백매화인데 아침 볕의 흰 꽃잎이 훨씬 더 깨끗하고 아름답기 때문이다. 게다가 달큰하고 그윽한 매화 향은 한낮보다는 오전이 훨씬 더 짙다. 매화 향 짙기로는 한밤중이 최고긴 하지만 오전 나절의 향도 못지않다. 반면에 산수유는 오후 나절의 볕을 받아야 노란빛이 더 화사해진다.

사성암 쪽에서 광양의 매화를 만나러 가려면 861번 국도를 타고 가는 게 좋겠다. 섬진강 왼쪽에 바짝 붙어 가는 하동 쪽의 19번 국도가 더 번듯하지만, 섬진강의 수면이 아침 볕을 받아 빛으로 잘게 부서지는 모습을 마주하고 달리는 맛을 느끼려면 강 오른쪽으로 난 861번 도로가 제격이다. 강 건너 저쪽의 화개장터와 쌍계사 입구를 지나는 19번 국도는 좀 수선스럽지만, 강 이쪽 편의 지방도로에서는 고즈넉한 시골마을의 정취를 그대로 느낄 수 있다. 화려한 매화가 도열한 도로를 달리다 보면 섬진강의 반짝이는 강물에서 견지낚시를 드리우고 있는 낚시꾼들을 심심찮게 만나는데, 그 모습이 마치 은박지에 그려진 그림처럼 회화적이다.

광양에서 매화의 절정은 단연 섬진강변의 청매실농원. 매화꽃 사이로 놓인 산책로와 2000여 개가 넘는 장독대, 초가집, 대숲 등으로 잘 가꿔진 농원은 봄꽃의 정취를 즐기기에 모자람이 없다. 하지만 축제기간 중에는 농원 아래 도로변은 엿장수의 가위소리와 스피커가 찢어져라 틀어놓은 트로트 가락으로 온통 소란스럽기 짝이 없다. 소음으로 머리가 다 어찔어찔해질 정도지만 온갖 나물과 푸성귀, 매화묘목 등을 좌판에 펼쳐놓고 나란히 앉아 있는 마을 할머니들을 경계로 농원 안쪽은 제법 고즈넉하다.

매화는 화사하게 피었지만 요즘 청매실농원 주인 홍쌍리 여사의 심기가 그닥 편치 않다. 올해는 입춘도 경칩도 일찍 들어 매화가 일찍 필 것이라 했는데, 광양시청에서 매화축제를 이번 주말로 늦췄다고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그렇다고 광양시청 측도 할 말이 없는 건 아니다. 지난해에는 꽃이 늦어 축제가 다 끝난 뒤에야 꽃이 피는 바람에 관광객들로부터 엄청난 항의를 받았던 터. 그래서 올해는 좀 여유 있게 축제일자를 잡은 것이 이리되고 말았다.

청매실농원 입장에서야 입장료를 받는 것도 아니니 축제 때 사람이 많이 찾아오면 귀찮고 번잡스럽기만 할 게 뻔한 일. 하지만 홍 여사는 "이리 예쁘게 핀 꽃을 여러 사람이 봐야 하지 않겠느냐"며 "다 핀 꽃을 봐주는 사람이 없으니 아까워서 어쩌냐"며 웃었다.

올해 매화축제 기간 동안에는 섬진강을 가로지르는 임시 부교가 설치된다. 강 건너 하동 땅에서 걸어서 섬진강을 건너 광양 청매실농원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부교를 놓는 것. 축제 개막 사흘 전쯤에 부교를 놓을 예정인데, 그렇게 되면 축제 때마다 농원 앞 도로의 상습적인 체증도 좀 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 오후 2시:광양에서 하동으로

매화 구경으로 오전 시간을 다 보냈다면 오후에는 섬진교를 건너 하동으로 가는 게 순서다. 하동에서 19번 국도를 타고 다시 구례 쪽으로 되돌아가는 길이다. 이 길은 4월 초쯤 벚꽃이 필 무렵이라면 당당한 '주연급'의 길이지만, 매화가 피고 지는 지금은 '조연'의 역할이다. 지나온 광양 청매실농원 일대에다 대면 어림도 없지만, 19번 국도의 광양 쪽에도 매화가 심어진 자그마한 농원이 제법 있다. 광양의 매화농원보다는 규모가 작긴 하지만 꽃의 화려함이야 어디 다를까. 산자락의 오솔길을 따라 매화꽃향을 즐기며 한적하게 산책을 할 수 있는 마을이 이쪽에는 얼마든지 있다. 광양 청매실농원의 소란스러움이 싫다면 아예 이쪽의 고즈넉한 매화농원을 겨눠서 찾아가는 것도 방법이겠다.

하동 쪽에는 강변의 백사장과 짙푸른 송림도 있다. 백사장을 딛고 강변으로 내려가 부드럽게 흘러가는 섬진강물에 손을 담가보는 것도 좋겠고, 강변의 송림 그늘에 들어 가슴을 펴고 소나무가 뿜어내는 향기로 샤워를 하는 것도 괜찮겠다.

하루하루 초록빛이 짙어오는 차밭도 이즈음 하동에서 만날 수 있는 광경이다. 차나무들이 구불구불 이랑으로 이어지며 반짝이는 초록빛의 화사함은 봄꽃의 아름다움 못지않다. 특히 강변에 줄 맞춰 심어진 차나무들 사이로 순백의 매화가 피어나면 차나무의 초록과 대비돼 더욱 화사하게 빛난다.

19번 국도를 달리면서 시간 여유가 좀 있다면 화개장터를 지나 쌍계사 쪽으로 계곡의 물길을 따라 들어서보는 것도 좋겠다. 계곡의 좌우 쪽으로 매화며 산수유가 흐드러진 사이로 단정하게 가꿔진 차밭의 이랑이 구불구불 이어진다. 여기다가 아지랑이 피는 계단식 보리밭이며, 차밭마다 이른 농사일을 시작한 이들의 노동의 모습까지 더해지니 봄의 정취가 물씬 느껴진다. 구례 쪽으로 접어든 뒤 피아골의 계곡으로 들어 물길을 따라 연곡사로 이어지는 길에서도 비슷한 풍경이 펼쳐진다.

쌍계사나 연곡사 쪽으로 들어가는 길에는 다원들이 곳곳에 있어 잠깐 다리 쉼을 하며 비록 지난해 덖은 것이긴 하지만 향긋한 차 맛을 볼 수 있다.

# 오후 3시: 하동에서 다시 구례로

구례를 대표하는 봄꽃은 단연 산수유다. 산동면의 산수유는 1000년 전쯤 중국 산둥(山東)성에서 사는 처녀가 구례군 산동면으로 시집오면서 처음 가져와 심었다는 얘기가 전해진다. 여기에다 구례의 산동면이란 이름도 중국의 산둥성에서 왔다는 이야기가 덧붙여진다. 구례의 산수유를 만나러 가는 시간을 굳이 오후로 늦춘 것은 기울어 가는 햇살에 산수유꽃의 노란빛이 더욱 짙어지기 때문이다.

산수유는 구례 산동면 전역에 군락이 있지만, 그중에서 상위마을과 그 아래 반곡마을, 그리고 계척마을과 현천마을의 군락이 가장 대표로 꼽힌다. 노란 구름처럼 피어난 꽃이야 다 마찬가지지만 마을마다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가장 유명한 산수유군락지는 반곡리와 그 위의 상위마을. 반곡마을은 계류와 어우러진 꽃이 일품이고, 상위마을은 작은 개울과 오래된 돌담을 끼고 있어 서정적인 분위기가 넘친다. 이 두 곳은 해마다 산수유축제가 열리면 가장 많은 인파가 몰리는 곳. 그만큼 꽃이 좋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번잡함이 싫다면 인근의 계척마을이나 현천마을을 찾아가는 것이 낫다. 계척마을은 우리나라 최초의 산수유 시목(始木)이 있는 마을이고, 현천마을은 마을 앞에 자그마한 저수지가 산수유꽃 그림자를 고요하게 비춰내는 곳이다. 두 마을 모두 산수유꽃이 가득한데, 상위마을이나 반곡마을보다 고즈넉해 차분한 꽃구경을 원한다면 아예 이쪽을 택하는 편이 더 낫다.

이즈음 구례를 갔다면 놓칠 수 없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화엄사 각황전 곁에서 립스틱 색깔처럼 붉은 꽃을 피워올리는 홍매화다. 광양 일대의 홍매화는 대부분 겹꽃이 피는 것들인데, 여기 화엄사의 홍매화는 다섯 장의 선홍빛 꽃잎을 갖고 있어 화려하면서도 기품이 넘친다. 낭창한 가지에 붉게 피어나는 꽃의 색감이 어찌나 치명적인지, 무르익은 봄날에 그 꽃 앞에서 혹여 마음을 썩 하고 베인다 해도 책임질 수는 없다. 화엄사 홍매화는 개화를 앞두고 꽃망울이 한껏 부풀어 있으니 며칠 더 기다려 볼 일이다.

구례·광양·하동=글·사진 박경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