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워진 날씨에 미끄러워진 노면을 걷기는 건강한 젊은 사람도 힘들기 마련이다. 날씨가 추워지면 지면이 미끄러워 어르신들은 자주 낙상 사고를 겪게 되어 겨울철 낙상 사고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 낙상은 겨울철에 야외에서 많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계절과 상관없이 욕실, 침실, 계단 등 가정에서도 잘 발생한다.
낙상은 나이가 들면서 신체 기관의 여러 가지 노화 현상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발 관절이나 뼈, 근육이 약해져 힘이 떨어지거나, 균형을 잡는 능력이 떨어져서 쉽게 넘어질 수 있다. 시력과 청력이 떨어져서 외부 자극에 둔감해지고, 이로 인해 불의의 사고에 대처하는 민첩성이나 순발력이 떨어지기도 한다.
만성퇴행성 질환 시 복용하는 다양한 약 복용으로 인해 균형감각이 일시적으로 소실되어 생기기도 한다. 부쩍 추워진 날씨로 몸을 움츠리고, 호주머니에 손을 넣고 걷다 보면 빙판길 등에서 미끄러져 넘어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넘어지면서 손을 짚을 때 손목뼈나 어깨뼈 등에 골절이 일어나기 쉽다. 엉덩방아를 찧으면 엉덩이뼈나 척추뼈의 골절이 쉽게 발생할 수도 있다.
또 골다공증으로 인해 인대 및 뼈의 구조가 약해져 있는 어르신들에게 발생하는 낙상에 의한 골절은 장기간 치료를 요하게 되고 심한 경우엔 이차적인 문제 발생으로 인해 생명까지 위협하는 경우가 많다. 노인들에게서 발생하는 낙상과 관련된 골절은 단순히 수술적 치료에 그치지 않는다. 장기간 회복기간이 요구되면서 내과적인 합병증도 동반하고 전반적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의 감소, 간병과 의료비와 같은 경제적인 부담의 증가를 가져온다. 이와 함께 우울증이 동반되고 삶의 질 저하를 가져오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낙상 시 통증이 심하거나 출혈이 발생했을 때, 의식이 있는 경우라면 통증 부위를 확인한 후 심하지 않으면 일어서서 서서히 움직여 본다. 그러나 골절이 의심되는 심한 통증을 호소하면 더 큰 문제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함부로 움직이지 말고 그대로 있고 응급구조대의 도움을 받아 병원을 찾도록 한다.
낙상과 관련된 골절은 무엇보다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낙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평소 균형감각을 높이고 근력을 키울 수 있는 가벼운 운동을 평소에 꾸준히 하는 것이 좋다. 특히 겨울엔 외출을 자제하여 빙판길에서 발생하는 낙상을 조심해야 하며, 무리한 활동을 하지 않아야 한다. 가벼운 낙상에도 쉽게 허리뼈나 엉덩이뼈가 부러질 수 있다. 그러므로 낙상 시 가벼운 타박상 정도로 생각해 치료 시기를 놓쳐 고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반드시 병원을 찾아보도록 해야 한다.
'지혜의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후의 과일’ 딸기, 비타민-엽산의 보고(寶庫)! (0) | 2013.01.22 |
---|---|
"비누로 씻으세요"… 독감 예방하는 손씻기는? (0) | 2013.01.22 |
`꼿꼿팔팔` 척추 꼿꼿하게 관리하면 노후도 팔팔 (0) | 2013.01.17 |
한파, 내 몸이 받는 엄청난 스트레스 (0) | 2013.01.15 |
찬물 좋다고 세수한 20대女, 피부 상태가…헉 (0) | 2013.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