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사진

천불천탑(千佛千塔)의 비경 - 화순 운주사(雲住寺)

아기 달맞이 2010. 10. 23. 08:31

화순 천불산 운주사는 천불천탑으로 세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우리 불교의 깊은 혼이 서린 운주사는 우리나라의 여느 사찰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의 불사를 한 불가사의한 신비를 간직하고 있다.

1481년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에 ‘운주사 재천불산 사지좌우산척 석불석탑 각일천 우유석실 이석불 상배이좌(雲住寺 在天佛山 寺之左右山脊 石佛石塔 各一千 又有石室 二石佛 相背以坐)라는 기록이 있다.

즉 ‘운주사는 천불산에 있으며 절 좌우 산에 석불 석탑이 각 일천기씩 있고 두 석불이 서로 등을 대고 앉아 있다’는 내용으로 보아 그때 까지만 해도 석불 석탑이 일천기씩이 실존했다고 보아야 할것이다.

 

또한 조선조 인조 10년(1632)에 발간된 능주읍지에도 '현의 남쪽 이십오리에 운주사가 있는데 천불산 좌우의 산 협곡에 석불 석탑이 일 천개씩 있고 석실에 두 석불이 서로 등을 맞대고 앉아 있다'라고 기록돼 있어서 일천개의 석불과 석탑이 있었던 것이 분명하고, 그 말미에 '금폐(今廢)' 라는 추기가 있어 정유재란으로 인해 소실 되었음을 말해 주고 있다.

그 후 조사한 기록을 보면 석탑이 22기, 석불이 213기가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석탑 17기, 석불 80여기만 남아 있어 역사 속에서 끝없이 유실되어 온 뼈아픈 세월을 살아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984년부터 1991년까지 전남대학교 박물관에서 네 차례의 발굴조사와 두차례의 학술조사를 하였으나, 창건시대와 창건세력, 조성 배경에 대한 구체적인 확증을 밝혀내지 못하여 운주사 천불천탑은 여전히 불가사의한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운주사 불상들은 천불산 각 골짜기 바위나 야지에 비로자나부처님(부처님의 빛, 광명)을 주불로 하여 여러 기가 집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크기도 각각 다르고 얼굴 모양도 각양각색이다. 홀쭉한 얼굴형에 선만으로 단순하게 처리된 눈과 입, 기다란 코, 단순한 법의 자락이 인상적이다.

민간에서는 할아버지부처, 할머니부처, 남편부처, 아내부처, 아들부처, 딸부처, 아기부처라고 불러오기도 했는데, 마치 우리 이웃들의 얼굴을 표현한 듯 소박하고 친근하다.

이러한 불상 배치와 불상의 제작 기법은 다른 곳에서는 그 유형을 찾아볼 수 없는 운주사 불상만이 갖는 특별한 가치로 평가받는다.

 

또한 운주사 석탑들은 모두 다른 모양으로 각각 다양한 개성을 나타내고 있다. 연꽃무늬가 밑에 새겨진 넙쩍하고 둥근 옥개석의 석탑과 동그란 발우형 석탑, 부여정림사지 5층 석탑을 닮은 백제계 석탑, 감포 감은사지 석탑을 닮은 신라계 석탑, 분황사지 전탑 양식을 닮은 모전계열 신라식 석탑이 탑신석의 특이한 마름모꼴 교차문양과 함께 두루 나타나고 있다.

 

운주사 탑들의 재료로 쓰인 돌은 석질이 잘 바스라져서 오히려 화강암질의 강한 대리석보다 더 고도의 기술을 습득한 석공이 아니면 제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그 석질로 빚어 만든 탑이 이렇게 긴 세월의 풍상을 버티면서 전해져 오는 것을 보면 이곳 조형자들의 기술이 가히 당시 최고 수준이었다는데는 반론의 여지가 없을 듯 싶다.

 

운주사 서쪽 산능선에는 거대한 두 개의 와불(미완성 석불)이 누워 있는데, 조상 대대로 “이 천번째 와불이 일어나는 날 새로운 세상이 온다”는 말이 전해져 오고 있다.

아마도 운주사 천불천탑은 우주법계에 계시는 부처님이 강림하시어 설법을 통해 불국정토의 이상세계가 열리기를 간절히 염원하는 마음으로 조성한 대불사가 아닐까 한다.

 

 

 

 

 

 

 

 

 

 

 

 

 

 

 

 

 

 

 

 

 

 

 

 

 

 

 

 

 

 

 

'가족사진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들과 국화도2  (0) 2010.11.08
가족들과 국화도1  (0) 2010.11.08
광주 무등산 증심사   (0) 2010.10.12
정동술 김정덕 선생 부부 도예전(광주)  (0) 2010.10.12
작은박물관 차집에서   (0) 2010.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