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방공예

보자기의 종류

아기 달맞이 2010. 4. 29. 21:12

'규방공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궁보(宮湺)

 

  궁보는 궁중에서 두루 소용되었던 각종 물품을 싸거나 꾸미는 데 썼던 보자기를 말한다. 궁보를 통해

궁중이라는 특수 사회의 생활 양식 내지 생활 문화을 일면을 엿볼 수 있다.

궁보에 관해 상세히 알려 주는 문헌으로는 『상방정례(尙方定例)』와 『궁중발기(宮中撥記)』가 있다.

『 상방정례 』를 보면 보자기는 1폭에서 8폭 크기까지 있는데 싸 두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보자기의 폭수,

형태, 재료가 명시되어 있다. 보자기의 사용 빈도를 보면 주로 옷감을 싸 두는 4폭보가 가장 많이 쓰였고,

다음으로는 각종 칠함류에 소용되었던 6폭보 및 신발류와 은구류를 싸 두던 2폭보, 관을 비롯한 각종 기물을

싸 두던 3폭보 이다.

  재료는 주로 국산 직물인 향직이며 그 중 반홍정주와 홍주 같은 홍색 계열을 많이 썼고 간혹 자주색과

남색, 청색, 백색 등을 사용하기도 했다. 궁보의 색상이 홍색 위주인 이유는 조선 초기부터 황색을

중국황제의 전용 색이라 하여 왕 스스로 황색을 피하고 자색을 국가의 색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자색은 왕의

전용 색으로 규정되어 일반 서민층은 물론 사대부층에서도 사용을 금했으면 양반층에 허용되었던 홍색도

때때로 금하곤 했다.

  고종 19년인 1882년 당시 동궁이었던 순종이 혼례 때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보자기에 대한 발기

(拔記, 사람이나 물건의 이름을 죽 적어 놓은 글발)가 『 궁중발기 』에 전해진다. 여기에 기재된 보자기를

조사해 보면 겹보와 누비보가 대부분이고, 폭수는 1폭에서 7폭까지 있다. 보자기 천은 대부분 모시와

무명이고 색상은 초록, 자주, 분홍, 아청, 백색, 옥색 등이 다양하게 쓰였다. 『 궁중발기 』에 나타난

보자기에 관한 표기를 『 상방정례 』와 비교해 보면, 보자기를 뜻하는 ‘복()’이 우리 말 ‘보’로

바뀌고, 폭은 ’폭(幅)‘에서 ’복(福)‘으로, 또 보자기의 수량 단위인 건(件)은 죽(竹)으로 바뀌어 있다.

보자기 종류 역시 한자 표기에서 한글로 바뀌어 , 예를 들면 유복(襦袱)은 솜보로 표기되었다. 보자기 감을

보면 『 상방정례 』의 것은 토산 명주가 대부분인 데 비해, 『 궁중발기 』 의 것은 모시와 무명이 많다.

색상 역시 홍색 계열 위주이던 것이 여기 와서는 여러 색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현재 전해지는 궁보 중 가장 오래된 아청운문단궁보(鴉靑蕓紋緞宮褓)는 현종의 딸 명안공주가 1681년 에

오태주(吳泰周)에게 출가할 당시 혼례물을 싸서 가져가는 데 썼던 것이다. 3폭 겹보이고 감은 남색 비단에

칠보문과 운문을 직조했고 안감으로는 남색 비단을 썼다. 300년 전의 직물 상태와 궁보의 실물을 접합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현재 창덕궁 유물관에는 100여 점의 궁보가 소장되어 있는데, 대부분 조선 후기에 제작 사용된 것이다.

1폭짜리 작은 보자기에서 5폭까리 큰 보자기에 이르기까지 각양각색의 궁보를 홑보, 겹보, 식지보, 누비보로

나누어 살펴보고 아울러 노리개보, 당채보 같은 특수한 보자기에 대해서도 살펴보자.

 

. 홑보

 

  궁보 가운데 가장 큰 5폭보로서 대개 명주나 모시로 만들었다. 색상은 대개 자색, 홍색이고 네 귀에

동일한 색의 끈을 달았으며 이불, 요따위의 침구류를 쌌던 것으로 추정된다. 보자기 가운데 세로로 한글

묵서명(墨書銘)이 적혀 있는 것도 있다.

 

. 겹보

 

  겹보는 대부분 사각형이며 1폭 반짜리가 가장 많고 1폭, 2폭, 2폭 반짜리도 더러 보인다. 궁중 가례시

각종 예물을 쌌던 것으로, 겉감과 안감은 청홍이나 홍황(紅黃)등으로 서로 색상을 달리한다. 대개 명주로

만들었으며, 끈이 없는 것과 있는 것으로 구별된다. 끈 없는 보자기는 물품을 적당히 여며 싸서 함 등속에

넣어 둘 때 사용하고, 끈 달린 보자기는 먼저 네 귀를 여민 다음 끈을 마주 묶어서 싼다.

 

. 식지보

 

  유지보(油紙褓)라고도 하며 끈 달린 것을 유대 식지보, 끈 없는 것을 무대 식지보라고 한다. 유대

식지보는 대개 사각형으로 1폭 반짜리가 많다. 이렇게 작은 것을 보면 이 보자기에 싼 음식물의 양이 1

인분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보자기의 꾸밈새를 보면 안쪽에 식지를 사용했고, 겉감 중심부에는 둥근

식지를 붙이고 끈을 매달았다. 보자기의 안팎에  식지를 댄 것은 습기 있는 음식물을 싸 주로 옥외에서

사용했음을 말해 준다. 안감의 식지는 음식물의 습기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겉감 중심부의 유지는 옥외로

운반하여 바닥에 내려놓을 때 바닥의 습기는 물론 더러운 것이 묻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음식의 국물이

묻으면 자주 빨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기고, 바닥에 내려놓으면 더러움이 잘타므로 물로 씻어 내기 쉽도록

둥근 식지를 댄 것이다. 이보자기는 궁내의 여러 행사 및 잡다한 일에 음식을 나를 때 소용되었다.

  무대 식지보는 직사각형으로 그 규격이 다양해서 1폭 × 2폭짜리도 섞여 있다. 안쪽에는 식지를 대고

겉감으로는 홍색, 황색, 백색 등의 명주를 사용했다. 주방에서 행사 장소로 음식물을 목판에 담아 운반할 때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 누비보

 

  누벼서 만든 것으로 꾸밈새에 따라 누비 겹보와 누비 식지보로 구분한다. 누비 겹보로는 파손되기 쉬운

기물을 싸고, 누비 식지보는 음식물을 따뜻하게 보온해야 하는 겨울철에 사용했다.

 

. 노리개보

 

  노리개보는 1폭으로 된 것이 많은데 겉감은 꽃 문양 등이 직조된 도류단(挑榴緞)을 안감은 명주를 주로

사용했다. 겉감과 안감의 색상은 홍색, 황색, 등으로 달리 되어 있고 한쪽 귀에 길고 짧은 끈 2개가 달려

있다. 보자기의 네 귀 중 한 귀에만 끈을 매단 것은 노리개를 쌀 대 먼저 세귀를  접어 여민 다음 긴 끈을

돌려 나머지 짧은 끈과 마주 묶기 위한 것이다.  이보자기는 가례시에 마련하는 노리개 이름을 명기하여

명시된 노리개만 싸 두었는데 이는 끈 달린 모서리 부분에 보자기에 싸두는 삼작 노리개의 이름을 한글로

적어 둔 것으로 증명된다.

 

. 당채보

 

  당채보는 모시 바탕에 당채로 문양을 그려 장식한 보자기를 말한다.

2폭에서 5폭까지 다양하며 사각형이다. 5폭 대형보에는 홍색 한 가지로 문양을 그려 넣었는데 물당채로 엷게

칠했다. 이보자기에는 이불, 요 등을 쌌던 것으로 여겨진다. 또 소형보에는 진당채로 두텁게 각종 문양을

여러 색으로 그려 넣었는데 태평장춘(太平長春), 성수만세(聖壽萬歲)등의 문자문과 모란, 국화 등의 화문,

그리고 봉황, 불로초등과 마름모꼴의 기하문 등이 보자기 전체를 빈틈없이 화려하게 채우고 있다. 각종 궤,

함 등속의 외부를 덮어서 장식하는 데 썼던 듯하다.  

  이처럼 궁보는 상상 외로 많이 쓰였는데, 물건을 소중하게 다루려는 의도와 함께 궁중에서 통용되던

규범에 따른 결과로 볼 수 있다. 즉 물건을 싸 두는 일차적 기능과 더불어 격식을 갖추는 의례용으로 제작

사용되어 궁중 풍속의 한 면을 보여 준다. 또 주로 토산 비단으로 만들어, 무명을 많이 사용한 민보와

대비된다.

 

 

2. 민보(民堡)

 

  민보의 종류는 그것이 싸거나 덮었던 일상생활 용품의 종류만큼이나 다양하며, 크게 상용보라는 테두리로

묶을 수 있다. 상용보는 많은 경우 어떤 특정한 물건만을 싸 두기 위한 단일한 목적으로 만들어지기 보다는

다목적으로 융통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따라서 상용보는 용도에 따라서 각각 명칭을 부여 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각각의 보자기가 다른 보자기와 판연히 구별되는 전혀 다른 것은 아니다.

  민보 가운데도 특정한 용도로만 쓰인 보자기도 다수 있다. 혼례시에 쓴 혼례용보, 장례나 기우제 등

특별한 경우에 쓴 특수용보, 그리고 불교의식 같은 종교적 목적에 쓴 불교 의식용보 등이 그것이다.

 

 

. 상용보

 

전대보 : 공사용의 문서와 물건을 전할 때 사용하던, 길고 양쪽 끝이 터진 자루 모양의 보자기를 말한다.

 

보부상보: 보부상이란 보상(보따리 장수, 여자 행상)과 부상(등짐장수, 남자 행상)을 말하는데,

          팔 물건을 싸서 갖고 다닐 때 쓴 보자기다.

 

후리보: 여행할 때 어께나 허리에 걸치는 보자기로, 잡물을 싸서 휴대하는데 썼다.

 

밥상보: 여름용은 통풍이 잘 되도록 사지나 모시로 만들어 꼭지를 붙여 밥상에 덮어 파리나 먼지 등을

        막았다. 겨울용은 두터운 천으로 겹보를 만들거나 솜을 두어 보온에 유의했다. 그리고 보자기의

        네 귀에 끈을 매달아 밥상을 옮길 때 편리하게 만든 것도 있다. 밥상보에는 한쌍의  주발보가 딸려

        있기도 한테, 이것은 부부용이며 청홍색으로 부부를 구별했다. 밥상보에는 식지를  쓴 경우가 많다.

 

옷감보: 옷감의 종류에 따라 싸 두는 옷감과 같은 천으로 만들었다.

        즉 비단은 비단 보자기에, 무명이나 모시는 무명이나 모시 보자기에 싸두었다. 옷감보의 규격은

        대체로 3~4폭이며 조각 천을 이용해서 만든 조각보가  많다.

 

이불보: 일명 자리보라고도 하는데, 때가 덜 타고 눈에 잘 띄지 않게 하기 위해 아청색이나 검정색 무명과

        굵은 모시 등을 주로 사용하여 만들었다. 여기에 장생문이나 화문을 수놓은 가오리연 모양의 띠를

        둘러 장식하기도 했다. 이불보에 싼 이불은 대개 반닫이에 얹어 두었다.

 

빨래보: 뺄랫감을 싸는 보자기로, 다듬이질과 다리미질 전에 빨래를 싸서 발로 밟는 과정에 쓰기 때문에

        쉽게 닳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주로 질긴 천인 베나 굵은 모시 등속을 보자기 감으로 썼다.

 

버선본보 : 보선보 주머니라고도 하는데, 반주머니 형태로 네 귀 중 두 귀는 접어서 꿰매고 두 귀는

           매듭단추를 달아 끼우도록 했다. 이 속에 한지로 오려 만든 버선본을 보관했다.

 

받침보 : 가락지, 골무 등 비교적 작은 물건을 보관해 두는 상자 속에 까는 것으로, 패물의 훼손을 방지하고

         바닥 장식을 겸했다.

 

덮개보 : 받침보와 같은 형태로, 물건의 보존과 장식을 겸하며 화문을 수 놓은 것이 많다.

 

  보 : 학동이 서당이나 학교에 다닐 때 책을 싸서 허리춤에 매던 보자기를 말한다.

 

회초리보 : 어린이의 훈육용 회초리를 싸 두던 보자기다. 회초리는 폭력도구가 아니라 교화의 뜻을 가진

           것임을 어린이에게 인식시키고 소중한 물건으로서 다룬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비단 보자기에

           싸 두었다.

 

횃댓보 : 간짓대를 잘라 두 끝에 끈을 매어 방 벽에 매달아 옷을 걸 수 있게 한 것을 횃대라 하는데, 여기에

         걸어 둔 옷가지를 덮는 데 쓴 커다란 보자기를 말하며, 장생문이나 화문 등을 수놓아 장식했다.

 

간찰보 : 간찰(편지)을 은밀하게 전달할 때는 한지로 싼 다음 다시 보자기에 쌌는데, 이 때 사용한 보자기를

         말한다.

 

서답(개집)보 : 여자의 생리 때 사용하는 천을 싸 두던 것으로, 통풍이 잘 되고 위생적이어야 하므로 백색

               면을 주로 사용했다

 

함보 : 혼례 때는 물론 일상 생활에서도 많이 사용되었던 함을 싼 보자기로, 함 운반시 훼손을 방지하려는

       목적으로 썼다

 

경대보 : 경대를 씌워 거울을 보호하고 장식을 겸하는 데 썼고, 대개 고급 비단에 수를 놓아 만들었다.

 

목판보 : 음식을 담아서 보관하거나 나를 때 목판 위에 덮던 것으로서 보자기 안쪽에는 반드시 식지를 대어

         습기를 방지했다.

 

반짇그릇보 : 바늘, 실, 자, 가위, 인두, 골무, 다리미를 이른바 규증칠우라 하는데, 이것들을 보관하는

             반짇그릇을 덮는 데 쓴 보자기를 말한다. 그릇 형태와 크기에 맞추어 만들며 수를 놓아

             장식하기도 했고, 끈은 대체로 달지 않았다.

 

보쌈보 : 조선 시대의 사회 규범 중에서 가장 잔인하고 혹독한 것이 정절 숭상에 따른 과부의 재가

         금지였다. 이 규법에서 벗어나는 방법으로 과부를 큰 부자기에 싸서 업어가는 일이 있었다.

         이 경우 미리 쌍방이 합의하여 남자 쪽에서 튼튼한 장정이 나타나서 과부를 약탈해 갔다.

         이미 약속이 되어있다 하더라도 체면상 여자 쪽에서는 그냥 뺏기고 있을 수도 없어서 몽등이를

         들고 부형들이 뒤쪽아가는 시늉을 하지만 계획적으로 업고 달려가는 장정을 당해 낼 수 없다.

         하지만 일방적인 약탈이 일어나는 경우도 없지 않았다.

         아무튼 과부 업어가기는 비공식적으로 최소한의 재혼 명분을 만들어 주는 하나의 습속이었다.

         보쌈보는 바로 이러한 시대의 유물이다.

 

. 혼례용보

 

기러기보 : 보통 청홍색 천으로 겹보로 만들며, 네 귀는 금색 종이인 금전지로 마무리했고, 곡식의 이삭을

           상징하는 삭모를 달아 장식하기도 했는데 삭모는 여러 가닥의 색실로 꾸몄다. 혼례식 때 나무

           기러기를 이 보자기에 싸서 신랑이 신부 어머니에게 건네 주어 상 위에 놓는데, 이 예식을

           존안례라 한다. 기러기의 목을 밖에 내놓고 꼬리가 보이도록 형식적으로 쌌는데 이는 산

           기러기를 상징한다.

 

금박보 : 바탕 천에 금색으로 문양을 찍은 보자기를 말한다. 혼례시에 한해 궁중 전용 문양인 용문과

         봉황분을 민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었다.

 

사주단지보 : 사주단자를 싸는 보자기는 사각형과 반주머니 형태로 만들었다.

 

예단보 : 신부가 시댁에 대한 첫인사 표시로 신랑의 직계 가족에게 보내는 예단을 싸던 보자기로, 청홍색

         비단으로 만들었다. 크기는 보통 2~3폭이나 가세에 따라 크기가 달랐다.

 

노리개보 : 노리개 등속의 작은 물건을 싸는 데 썼다. 네 귀 중 한쪽 귀 아랫부분에 두 가닥의 끈을 달아

           여미어 묶었다. 크기는 대개 1폭이고, 노리개를 보호하기 위해 솜을 두어 만들었다.

 

연길보 : 정혼의 표시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에 보내는 예장지(禮狀紙)와 채단(采緞)을 함에 넣을 때 싸는

         보자기를 말한다.

 

폐백보 : 혼례식을 마친 후 신부가 시댁으로 들어가서 웃어른들께 인사드릴 때 차려 놓는 음식물을 싸 가는

         청홍색 보자기를 말한다.

 

. 특수용보

 

명정보 : 관을 덮는 홍색 보자기로서 바탕에 흰 글씨로 죽은 자의 품계, 관직, 성명 등을 썼다.

 

영정봉안도 : 조상의 영정을 싸는 내보와 이것을 보관하는 함을 싸 두는 외보가 있다.

 

기우제보 : 10폭 정도의 큰 보자기로 기우제를 지낼 때 제단 뒤에 치거나 앞에 펼쳐 놓는 보자기로서 당채로

           용문(龍紋), 운문(雲紋),이문, 백호문(白虎紋)등을 그려 넣어 장식했고 천은 주로 배를

           사용하였다.

 

탈보 : 전통 탈놀음에 쓰이는 각종 탈 뒤에 매달아 얼굴 뒤로 여미게 한 것으로 대개 흰색이나 검정색

       면포를 썼다.

 

. 불교 의식용보

 

제기보 : 제사에 쓰는 각종 제기를 싸 두는 보자기로, 베와 무명을 많이 사용했다.

 

마지보(摩旨褓) : 사시보(巳時褓)라고도 하는데 오전 9시에서 11시 사이인 사시(巳時)에 스님이 예불할 때

                 차려 놓는 밥이나 쌀을 덮는데 사용한다.

 

공양보 : 불자가 부처님게 공양 드릴 때 과일 및 음식점을 펼쳐 놓는데 쓰는 보자기로, 대개 깨끗한 백색

         천으로 만들었다.

 

경전보 : 불교 경전을 싸 두었던 보자기다. 전주 전 시립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던 수보도 고려 시대

         만들어진 것을 추정되는 경전보의 한 예이다.

카네이션 만들기   (0) 2010.05.08
코바늘뜨기 기호와 뜨는법  (0) 2010.05.04
윙크하는 차보관함 만들기/펌글   (0) 2010.04.26
규방공예 경상도 골무 만들기  (0) 2010.04.07
한폭의 그림같은 공간들/펌   (0) 2010.03.30